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iptable
- 로컬보안정책
- windows2008
- Linux DB2
- RAID5
- 화이트도메인
- NormalBlockError
- GTK
- 글자겹침
- Linux
- Callback함수
- 시간비교
- JMF
- BFF
- gtk설치
- AIX DB2
- 역방향조회
- IP대역
- 보안감사생성
- raid1
- port fowarding
- egrep or 조건
- Raid
- C
- RAID 0+1
- 무료proxy
- Root 허용
- egrep
- Paket tracer
- RAID0
- Today
- Total
목록OS/Windows (3)
술텀뱅이 블로그
Linux 와 Wnidows 를 사용했다. 부트로더는 grub를 썼었다 Linux 부트로더를 사용하다가 Windows 로 부팅하여 Linux 파티션을 지웠다 그랬더니 MBR도 날라갔다. 그래서 부팅할때 error : no disk 어쩌고 나오면서grub rescue> 요게 뜬다 윈도우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Windows7 씨디를 넣고 복구모드로 들어간다. 메뉴가 몇개 뜨는데 그중 command 창을 선택하여 CMD를 띄운다. 아래의 명령어를 친다. bootsect /nt60 c: /mbr 복구 완료 c: 은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을 선택 하면 된다. 끝
특정 공유폴더(\\192.168.0.20) 에 접근 후 ID/PW를 원치 않게 PC가 기억 하는 경우가 있다. 이럴 경우에 다른 계정으로 접속 하고 싶어도 방법이 없다. 이럴 땐 캐시를 지우자 net use /persistent:no 바로 지워진다.
아.. 오늘은 정말 어마어마한 삽질의 연속이였다. 제기랄 로컬보안정책 의 "보안 감사 생성" 이란 부분에 기본 계정 LOCAL SERVICENETWORK SERVICE 이 외의 계정이 존재 하거나 두 계정 중 한개의 계정이라도 없으면 보안 취약점 알람을 띄워야 했다. 그런데 18181818181818 Windows 2003 의 경우 두 계정 중 한개의 계정을 지우면 정상적으로 알람이 작동 했다 하지만 Windows 2008의 경우 두개의 계정을 지우고 점검을 하게 되면 알람이 동작하지 않는다. 오탐인줄 알았다. 하지만 창을 띄우 해당 창 에서는 계정이 지워지지만 다시 띄우면 지웠던 계정이 다시 생성 되어있다. LOCAL SERVICENETWORK SERVICE계정은 아무리 지워도 창을 종료 했다가 다시 ..